한국오존자외선협회 - 공기살균기,공기정화기,의료용오존,수처리,살균소독,자외선,조류독감,구제역,원내감염예방

본문 바로가기

환경복지 선진화를 위한 공기질 뉴딜 정책
 

환경복지 선진화를 위한

공기질 뉴딜 정책

- 미세먼지 중심의 공기질 관리방안 개선 -

2017. 5.

한국오존자외선협회

목 차

Ⅰ. 요약

II. 정책의 개요

1. 현황 및 문제점

2. 정책 방향

III. 정책 방안

1. 정책방안 종합

2. 추진과제 내역

  • 1) 미세먼지 기준 강화
  • 2) 미세먼지 중심 공기질 관리방안 개선 방안
  • 3) 학교 등 미세먼지 및 집단감염 대책 방안
  • 4) 일자리 창출 및 산업 육성 방안

요약

실내공기질 문제가 심각한 상태에서
실외 미세먼지 오염 심화로
국민 건강이 위협받고 국가 경제적 손실 가중

미세먼지 뉴딜 정책 사업을 추진
WHO수준 환경복지 실현 및
실내공기질관리 분야
일자리 및 4차 신산업 창출

■ 목표체계

I. 정책의 개요

1. 현황 및 문제점

■ 미세먼지 대기오염 심화, 실내공기질 비상

  • (미세먼지 오염 심화) 미세먼지 주의보 발령 횟수 작년 대비 약 2배 급증(대기질종합예보센터), 공기청정기 매출 3배 증가(이마트 판매 실적), 현행 환기 우선의 실내공기질 대책 개선 필요
  • (대통령 현장 방문) 5월 15일 대통령 양천구 온정초등학교 방문 및 전 국 학교 교실에 미세먼지 측정기 설치 발표 (환기 시점 및 야외활동 가능 여부 판단의 어려움 해소 차원)
  • (실내공기질 문제의 심각성) 실내 방출 오염물질이 폐에 전달될 확률은 실외에서 보다 1천 배 높아 실내 오염도를 20 % 만 줄여도 급성 기관지 질환 사망률을 최소 4∼8 % 줄일 수 있음(WHO)

■ 미세먼지 관리 및 맞춤형 서비스 인프라 부족

  • WHO 지정 1 급 발암물질인 미세먼지 발생원 및 분포실태 파악 불충분
    - 미세먼지 -> PM2.5 이하 에어로졸, 부유먼지 -> PM10 이하 입자
  • 전국 규모의 환경 자동측정망 부족
    - 환경측정망(대기/수질/토양 등) 전국 1,441 개소(실내공기질 37 개소)

■ 실내공기질 관리기준 강화 및 맞춤형 서비스 필요

  • 국내 관리기준 WHO 기준과 부합화 필요
    - WHO관리 기준이 국내 관리기준 대비 2배 높음
  • 관리대상 시설의 용도, 인근 오염원 및 이용자 회복력(레질런스) 수준을 고려한 맞춤형 관리 및 서비스 지원체계 구축 필요
    - (현재)공간 유형 표본관리 ▷ (개선)공간/지역 전수관리 필요

■ 관련 일자리 창출 기반 미흡

  • 관련 시장은 현재 대기업 주도 흡입형 공기정화기(예:공기청정기) 제품 중심 형성, 일자리 창출 효과가 큰 중소벤처 및 서비스 시장은 영세
  • 측정, 검사, 분석, 인증, 교육 등 중소벤처 및 서비스 시장 활성화 필요

2. 개선 방향

■ 미세먼지 관리기준의 WHO(세계보건기구)기준 부합화

  • 실내외 미세먼지 관리기준의 일원화 및 부합화
  • 공기질 측정시스템 설치 및 운영에 대한 국민 체감형 기준 마련

■ 미세먼지 대응 국가 차원의 과학적 공기질 관리기반 강화

  • 학교 등 공공시설 대상 미세먼지 관리체계 전면 구축
  • 용도별·지역별 실시간 기계적, 화학적 오염원 및 실태의 정밀한 파악을 통한 과학적 관리방안 수립(예: Airkorea 실시간 대기질 모니터링)
  • 생물학적 위해 감시시스템 운영을 통한 집단감염증 예방과 신속한 대처 기반 구축

■ 미세먼지 대응 국가 차원의 과학적 공기질 관리기반 강화

  • 학교 등 공공시설 대상 미세먼지 관리체계 전면 구축
  • 용도별·지역별 실시간 기계적, 화학적 오염원 및 실태의 정밀한 파악을 통한 과학적 관리방안 수립(예: Airkorea 실시간 대기질 모니터링)
  • 생물학적 위해 감시시스템 운영을 통한 집단감염증 예방과 신속한 대처 기반 구축

■ 실내공기질 관련 정책 및 제도기반 보완

  • 실내공기질 관리 3차 기본계획(‘14~19년) 보완 및 실행계획 수립
    - 정책 환경 변화에 맞춰 계획 현행화 및 관련 실행계획 구체화
  • 공기질 신인증체계 구축
    - 실시간 모니터링 기반 실내공기질 인증체계 고도화 및 의무화를 통해 국민 안전 및 알권리 충족 기반 강화

■ 실내공기질 산업생태계 일자리 증진형으로 전환

  • 실내공기질관리사 제도 도입
    - 관련 제도를 신설하여 전국적으로 6만 명 일자리 창출
  • IoT기반 실내공기질관리 신산업 육성
    - IP-R&D전략을 수립 세계 1등 상품기획
    - 사회책임투자 기반 장기기술 투자를 연계한 기술사업화를 추진 GVC (글로벌밸류체인) 주도 신산업 육성

※ 실내공기질 산업 국내시장 3.7조 원(세계 60조 원 ‘14년) 규모, 지속증가 예상

  • 관련 시장은 건축소재, 공기정화, 바이오 산업을 바탕으로 IoT(사물인터넷), 빅데이터, 인공지능, 헬스케어, 빌딩정보모델 기술의 융합 시장
  • 시설 단위 공공시장(중소전문기업 주도)과 세대 단위 민간시장(대기업 주도), 건축물 용도별 시장(건설사 주도) 가운데 기술혁신 및 일자리 증진 효과가 큰 공공시장 육성 촉진 필요

II. 정책 방안

1. 정책방안 종합

정책 방안

세부 내용

1. 관리기준 강화

① 미세먼지 관리기준 강화

  • 미세먼지 중심의 공기질 관리기준 단계적 강화
  • 미세먼지 중심의 공기질 통합기준 설정

2.미세먼지중심 공기질관리 방안 개선

② 대기질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확충

  • 대기질 실시간 모니터링을 통한 오염원 및 공기질 실태 데이터베이스 확충
  • 설치기준 및 운영방안 업데이트
  • 동북아 국가간 측정네트워크 구축

③ 실내공기질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확대

  • 미세먼지 중심의 실내공기질 관리기준 검토
  • 실내공기질 실시간 모니터링을 통한 오염원 및 공기질 실태 데이터베이스 구축
  • 국가표준․인증 관련 법적근거 마련

④ 미생물 실시간 모니 터링 시스템 구축

  • 부유세균 및 바이러스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
  • 미생물 오염도 실태 파악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 관리기준 업데이트

⑤ 제도개선

  • 기본계획 보완 및 실행계획 수립
  • 신인증체계 구축

3.학교등 미세먼지 집단 감염 예방

⑥ 학교 측정망 구축

  • 측정기기 설치
  • 측정망 및 공기정화 시스템 확대

⑦ 공공시설 측정망 구축

  • 실행로드맵 수립
  • 측정망 및 공기정화 시스템 확대

4.일자리 창출 및 신산업 육성

⑧ 실내공기질관리사 제도 시행

  • 실내공기질관리사 제도 법적근거 마련
  • 실행방안 추진

⑨ 실내공기질관리 신산업 육성

  • 기술 혁신 및 서비스 증진형 산업육성 촉진
  • 실내공기질관리 분야 GVC 주도 신산업 육성 추진

2. 정책방안 내역

1.미세먼지 기준 강화

■ 추진 배경

  • 미세먼지: WHO(세계보건기구) 지정 1급 발암물질(GROUP 1)로 규정('13. 10)
    ※ GROUP 1: 확실히 사람에게 암을 일으키는 물질
  • 미세먼지로 인한 한국의 경제적 손실 추정치: 11조 8천억원*
    (*미국 환경보건단체 보건영향연구소(HEI) 2017년도 보고자료)
  • 세계 주요국 미세먼지 기준 현황

(단위: μg/m3)

항목

기준시간

한국

WHO

미국

일본

캐나다

호주

영국

EU

PM10

24시간

100

50

150

100

25

50

50

50

PM2.5

24시간

50

25

35

35

15

25

25

25

※세계 주요 환경 선진국은 PM2.5에 대한 관리 및 기준을 강화하는 추세

■ 추진 내용

  • 미세먼지 중심의 공기질 관리기준의 단계적 강화
    - 관련 정책 추진 일정과 연계, 연도별 단계적 강화 추진
  • 미세먼지 중심의 공기질 통합기준 설정
    - 대기질 및 실내공기질 통합 관리 기준 설정

■ 추진 일정

2.미세먼지 중심 실내공기질 관리방안 개선(안)

■ 추진 배경

  • 국가 공공시설의 선제적 도입, 우선 검증 필요
  • 순차적 관리대상 확대

■ 추진 내용

  • 전국 규모의 실내공기질 통합관리센터 구축 및 운영
  • 실내공기질 통합관리업무 법정 위임기관 지정(정부 산하 비영리기관)
  • 세균/바이러스 실시간 감시시스템 추가
    - 미세먼지 이외에 사회적 이슈가 되어 있는 집단감염원에 대한 실태 파악을 위한 세균/바이러스 실시간 감시 및 살균정화시스템 추가

■ 추진 일정

  • 통합관리기구 설립
    - 범부처 총괄 통합관리 기구 설립
  • 기본계획 보완 및 실행계획 수립
    -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 보완(국가 로드맵 제시)
    - 실행계획 수립 및 예산 반영(예타 계획 등)
  • 신 인증체계 구축
    - 에어로졸 실시간 모니터링 기반 인증체계 구축
    - 인증 및 표준 확산
    - 데이터 관리센터 구축을 통한 데이터 관리 및 공개
    - 법정 위임사무 : 정부산하 비영리 기관
    - 공기질관리사 국가전문자격증 신설 및 보수교육
    - 실내공기질 측정 및 공기정화시스템 유지보수 및 사후관리

3. 학교 등 공공시설 미세먼지 및 집단감염 대책방안

■ 학교 소요예산: 1.2조 원(60만개 교실 설치비용)

■ 추진 로드맵

구분

시설 예

개소

(ea)

1단계

2017~2018

2단계

2018~2020

실시간 공기질 모니터링 체계 구축

공기질 관리제도

공공시설

학교

13,000

  • 전국규모의 실내외 실시간 공기질 측정망 확충/구축 및 운영
  • 공기정화장치 설치 확대
  • 부유세균 및 바이러스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추가
  • 환경부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 보완
  • 공기정화장치 확대 설치를 통한 국민 체감 안전공간 확보
  • 실시간 모니터링 기반의 실내공기질 통합관리 센터 운영을 통한 실내공기질의 체계적 관리
  • 실내공기질 신인증체계
  • 관련 산업 육성

공공도서관

1,500

공공기관

300

공공체육관

1,000

보건소

3,500

동사무소

2,000

시/군/구청

226

기타 공공시설

5,000

종합 병원

330

버스 정류소

700

민감계층시설

어린이 집

50,000

산후조리원

600

노인복지시설

80,000

기타 다중이용시설

500,000

[대상 시설 및 실행 로드맵 안]

4. 일자리 창출 및 신산업 육성

■ 추진 배경

  • 일자리 창출 및 미세먼지 대응은 각각 국정 최우선 순위 현안
  • 실내공기질관리 산업 세계시장 규모‘14년 기준 60조에서 지속 확대 산업적 매력도 높음
  • 실내공기질 수준 제고를 위해서는 자격 있는 전문 인력이 필요하고 실시간 모니터링 및 맞춤형 서비스 제공을 위해서는 신기술 필요

■ 공기질 실시간 모니터링 사업을 통한 일자리 창출

  • 국내 공기질 실시간 모니터링 잠재시장 약 54조, 연평균 내수/수출 산업규모 약 12조 추정
    - (54조 근거) 실시간 측정 대상 다중 이용시설 1,200만 개 측정단위 (노드) 추정(아래 총 센서수 참조), 1 개 측정단위 당 450만원 소요

  • - (12조 근거) 13쪽 실내공기질 산업규모 산정 표 참조
  • 54조 잠재시장 개발에 따른 고용유발효과 6,750명(전산업평균 고용유발 계수 8 적용)

■ 실내공기질관리사 자격제도 도입 약 6만 일자리 창출

  • 실내공기질관리사 제도 개요 및 수요
    - (개요) 실내공기질 관리계획 수립 및 시행, 모니터링 시스템 운용 및 유지관리, 교육, 자체검사보고서 작성 등의 업무를 통해 공공 및 민간시설의 실내공기질 관리를 전문적으로 수행하도록 하여 일반 국민들의 공공복지 증진을 도모하고자하는 제도
    - (수요) 약 6만 명
  • 법적근거마련 등 실행 방안
    - 실내공기질관리사(국가전문자격증):‘환경분야 시험검사 등에 관한 법’에 추가(참조: 환경분야시험검사등에 관한 법률에 근거한 환경 측정분석사)
    - 실행방안
      · 국립환경인력개발원에서 관리하는 국가전문자격증 제도 시행
      · 일정 규모 이상의 공공 및 민간시설에서 실내공기질관리사 채용 의무화:‘실내공기질관리법’에 추가

※ 직접고용창출액(연인원 약 6만명 고용) 산출근거 상세

  • 전국 226개 시·군·구(‘16년)
  • 1개 시군구 당 설치 및 유지보수 기기 수: 약 110,000개
  • 1개 시군구 당 필요한 유지보수팀: 약 122팀(1일 3건, 2인 1조: 1팀)
  • 전국적으로 필요한 유지보수 인원: 약 55,000명
  • 전국적으로 필요한 사무실 관리 인원: 약 2,260명(1개 시군구 당 10명)
  • 총 신규고용인원 추정: 약 6만 명

※ 실내공기질관리 산업규모 추정(시장 성숙시점 기준)

구분

산출내역

금액(백만원)

산출근거

제도운영관리 업무

연인원 60,000명
연봉 3,000만원

1,800,000

※ 아래‘직접고용창출액’
산출근거 참조

제품 생산액

1식 450만원

100,000식

450,000

실외모니터링시스템 100만원
실내모니터링시스템 50만원
세균모니터링시스템 200만원
정화장치 100만원

서비스 생산액

제품생산액 x 20%

90,000

미세먼지로 인한경제적 손실 저감액

45만원/kg∙인(피해액)
연 226,000kg의 미세먼지 발생으로 인한 피해액(추정) 11조 8천억원 중 30% 저감시

3,539,700

미국 환경보건단체 보건영향연구소(HEI) 2017년도 보고자료
OECD 대기오염 경제적 결과 보고서

아시아시장 수출액

6조 원(중국시장 판매목표액)

6,000,000

2015년 중국의 환경오염처리 투자액 9,576억위안(한화 약158조원) * 약 4 % 점유 (목표치)
(출처: 중국 즈옌컨설팅이 발표한‘2016~2022 중국 환경시장 운영 추세와 투자전략 연구보고)

합계

11,879,700

[ 실내공기질 산업의 연간 고용, 생산 및 수출규모 추정 ]

■ 사회책임투자 기반 신산업 육성 15만 일자리 창출

  • 실내공기질관리 기술 산업은 대표적 바이오, 건축, ICT 융합 산업
    - 미국, 카나다, 유럽, 일본 등이 축적된 선진 기술 보유
    - 원천기술 격차는 2년 내외 응용기술 격차는 없음
  • IoT 기반 빅데이터/인공지능/빌딩정보모델 등 신기술 융합을 통해 파괴적 혁신(disruptive innovation) 이 예상되는 시장
    - IP-R&D전략 기반 혁신적 신기술 개발 및 글로벌 기술사업화 추진
    - 실내공기질관리산업 GVC(글로벌밸류체인)의 주도적 개발이 가능한 역량 있는 기술기업중심 가칭‘실내공기질관리산업 GVC 추진단’구성 필요(100개 내외 중소벤처 참여 및 스타트업 창출)
  • 도전적 성장을 촉진할 (국민연금 등)사회책임투자 기반 장기기술투자와 스마트시티 테스트베드 도시 선정 투 트랙으로 지원
    - 스마트시티 테스트베드 도시 지원
    ※ 도시 전역 실내공기질관리 신기술 및 서비스 테스트베드 조성 필요
    ※ 대상 도시는 스마트시티를 시정책으로 추진해야 하며 이를 위한 스마트커뮤니티(스마트시티 추진을 위한 공동체 협업 및 협치 체계) 및 리빙랩(수요자가 직접 참여하는 실생활 공간 기술 및 서비스 실증 환경)인프라 지원이 가능한 도시를 대상으로 최적지를 선정
    - 사회책임투자 기반 장기기술투자 지원
    ※ 통상 10년 내외가 소요되는 GVC 개발의 장기성 및 다단계 위험 극복(기술개발, 양산, 글로벌 시장진입, 시장 선점, 현지화 및 글로벌 지배구조 확립 등)을 위해 필요
    ※ 일자리 창출형 성장구조 창출을 위해 고용유발효과 15 이상(전산업 평균 8) 기업의 환경(E), 사회(S), 협치(G) 기여를 전제로 한 사회책임투자 합의 가능 기업으로 대상 구성
    ※ 신산업 육성 투자계획 예시

[ 사회책임투자 기반 신산업 육성 방안에 의한 투자-GRDP증진-일자리창출 모델 예시 ]

  • 가정
     신기술개발 및 기술사업화 투자: 247억(정부) + 5,400억(사회책임투자)
    - 사회책임투자 5,400억 원일 경우 정부투자는 2,300억 원 수준이 적정
     계획기간: 총 11년 (준비 기간 1년 포함)
     GVC(글로벌밸류체인)개발 참여기업자체 투자: 매출의 10% (별도)
     고용유발계수: 15 적용 (전산업평균 8)

별첨1 실내공기질관리사 교육과정(안)

1. 교육과정명: 실내공기질관리사 국가자격증 교육

2. 대상: 전국민

3. 교육 세부내용

과정

세부 내용

○ 공기질관리 개론

  • 대기환경과 기초이론
  • 실내환경과 기초이론
  • 실내공기질(IAQ; indoor air quality)관리 이론

○ 실내공기질 관리기준 및 법령

  • WHO 실내공기질 관리기준
  • 실내공기질관리법 및 환경분야 시험검사 등에 관한 법
  • 실내공기질 관련 정부부처별 법령
  • 해외 실내공기질관리기준 및 법령
  • 공공시설 관리지침

○ 측정법 및 이론

  • 표준법
  • 중량법
  • 광산란법
  • 공정시험법
  • 측정시스템 개요 및 운영체계
  • 측정품질관리
  • 데이터 통신 및 제어 이론

○ 실내공기질 관리기법

  • 관리기법 개요
  • 실내공기질 분석∙예측∙관리∙제어기술
  • 공공시설의 에너지 관리와 공중보건
  • 집단오염원 발생제어 및 관리기법
  • 공기정화기 원리 및 효과

○ 데이터 분석 및 관리기법

  • 데이터 통계분석 이론
  • 데이터 관리기법 소개

○ 신기술 동향

  • IoT 개요
  • 스마트시티 개요
  • 면역빌딩 동향
  • 차세대 실내공기질 관리기법
  • 최신 친환경 기술

○ 대기오염원 관리기법

  • 축산 사육환경 현황 및 개선방안
  • 금연정책 현황 및 대책방안
  • 버스정류장 현황 및 대책방안

○ 교양

  • 공기오염과 인간 삶의 질
  • 공공복지정책의 어제와 오늘
  • 공기질 개선을 통한 수명연장

별첨2 한국오존자외선협회 기본계획(안)

정책 방안

세부 내용

1.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시행

○ 공기질관리사 양성 교육프로그램 개발(국립환경인력개발원과 공동)

  • 국가전문자격증 신설(법적근거 마련: ‘환경분야 시험검사 등에 관한 법’에 추가)
  • 실내공기질관리법에 공기질관리사 의무 채용 조항 추가
  • 협회 교육위원회와 국립환경인력개발원 공동 공기질관리사 양성 및 자격증 관리 프로그램 개발
  • 교육 매뉴얼 작성
  • 로드맵 작성

○ 협회 자체 보수교육 프로그램 개발

  • 공기질관리사 교육 및 자격증 관리업무 위임 추진
  • 전국 단위 교육 위탁기관 지정

○ 교육위원회 신설

  • 실내환경학회와 협력
  • 환경측정기기 검사기관과 협력

2.인증체계 구축

○ 실시간 연속 공기질측정시스템 기반 신인증체계 구축

  • 측정시스템 성능 평가규격 개발 및 단체표준 추진
  • 측정 및 정화시스템 자체 검사규정 개발
  • 측정시스템 및 공기정화장치 공통 구매규격서 작성
  • 데이터 관리방안 작성
  • 규격심의위원회 개최

○ 측정 및 정화시스템 인증

  • 평가규격 기반 성능평가시험(환경측정기기 검사기관)
  • 인증서 및 인증필증 발급
  • 인증대장 작성 및 관리

○ 사후관리

  • 사후관리방안 작성
  • 현장 공기질관리사의 정기적인 자체검사성적서 협회에 제출 의무화 (부적합 판정시 보완계획서 추후 제출)
  • 환경측정기기 검사기관 지정(국립환경과학원 지정 검사기관 중 선정)
  • 협회와 검사기관의 정기적인 현장 검사

3.전국 자동측정 통합 관리센터 신설

○ 전국 규모의 실내공기질 자동측정 통합관리센터 신설

  • 조직 신설 및 인력 채용
  • 통신회사 선정

별첨3 한국오존자외선협회 교육프로그램 사례

1. 교육과정명: 오존안전교육

2. 대상: 오존 취급 관리자, 관련 기업 및 연구소 임직원, 지자체 공무원 등

3. 교육 세부내용

일시

강사

강의명

2006.12.14

박진철

실내공기질 관리법 및 오염물질 측정방법

안희성

오존소독 및 효과

안희성

고전압에 의한 오존발생 기초이론

안희성

오존안전취급기준

이명구

오존측정원리 및 방법

2007.4.19

안희성

고전압 및 오존발생

이주봉

오존발생시스템 현장 적용 설계

이명구

오존측정법

조성준

오존발생기용 차세대 고압방전관용 전극코팅기술

송종환

전원장치

안희성

오존취급안전기준

2007.10.30

손종렬

실내공기질 관리법 및 측정방법

안희성

오존소독 및 효과

안희성

오존발생 기초

이명구

오존측정원리 및 방법

안희성

오존취급안전기준

2010.7.7. ~ 7.8

김선숙

실내공기질 개론

이기영

실내 오염에 따른 건강영향 및 위해성 평가

강동화

실내공기질 측정 및 분석

최동희

실내공기질 개선기술 Ⅰ

이승민

실내공기질 개선기술 Ⅱ

Prof. Yamabe

Recent Ozone Generation Technologies and Their Applications in Japan

김호현

실내 공기 오염 물질의 건강위해성평가 및 연구사례

안희성

오존취급안전기준

조우현

오존공정 설계 및 운영(서울시 도입사례)

연충규

특허제도 일반

민유선

삼성건설 실내공기질 관리기술 및 현황

2012.5.24

박현석

부산시 고도처리현황 및 운영사례

안희성

오존발생기초

엄정용

고도정수 오존처리 시스템 효율적 운영관리

오현제

오존과 고급산화처리기술의 개요와 적용

이윤호

오존 및 UV/H2O2에 기반한 고도산화수처리: 화학반응속도론을 이용한 공정평가 및 처리효율 예측

이재용

오존시스템 개요 및 일반사항

조 민

QUANTITATIVE EVALUATION OF OZONATION: MICROBIAL INACTIVATION

조우현

서울시 고도정수처리설비: 오존공정 운영방안

환경부

고도정수처리시설 추진 방향

2013.11.8

안희성

오존발생 기초

안희성

오존소독 및 효과

안희성

오존취급안전기준

 

회사소개 |  공지사항 |  오시는 길 |  웹메일 |  홈으로